세탁하는 옷, 매일 도로를 달리는 자동차 타이어, 그리고 버려진 페트병까지 모두 미세플라스틱 오염의 시작점이 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작은 조각들이 어디서부터 나와 우리 환경을 위협하는지 지금부터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미세플라스틱 완전정복' 시리즈의 두 번째 이야기입니다. 지난 1편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의 정체와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편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이 어떻게 생성되고, 어떤 경로를 통해 자연계와 우리 생활로 유입되는지 그 근본적인 원인을 심층적으로 다뤄보겠습니다. 미세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한 첫걸음은 그 '시작'을 아는 것에서부터 시작됩니다!
1. 1차 vs. 2차 미세플라스틱, 그 차이점 다시 보기
지난 편에서 언급했던 1차와 2차 미세플라스틱은 발생 원인이 명확히 다릅니다. 이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미세플라스틱 문제를 올바르게 인식하는 데 중요합니다.
1차 미세플라스틱: 처음부터 5mm 미만의 크기로 생산되는 플라스틱입니다. 화장품의 마이크로비즈(microbeads), 산업용 원료(플라스틱 펠릿), 합성섬유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합성섬유 자체는 1차 플라스틱에 속하지만, 옷을 세탁할 때 빠져나오는 미세섬유는 환경에 배출된 이후 자연 분해 과정에서 2차 미세플라스틱처럼 작용합니다. 이는 제조 단계에서부터 의도적으로 작게 만들어져 환경으로 배출될 수 있습니다.
2차 미세플라스틱: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플라스틱 제품이 시간이 지나면서 잘게 부서져 만들어지는 조각입니다. 햇빛(자외선), 파도, 바람 등 자연적인 외부 환경에 의해 물리적, 화학적으로 조각나면서 생성됩니다. 해양에서 발견되는 미세플라스틱의 대다수가 여기에 해당하며, 사실상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한 피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2. 우리 주변의 주요 발생원
- 합성섬유 의류: 우리가 입는 옷의 상당수는 폴리에스터, 나일론, 아크릴 등의 합성섬유로 만들어집니다. 이 옷들을 세탁할 때마다 미세한 플라스틱 섬유가 떨어져 나와 하수도로 배출됩니다. 이 미세섬유는 하수처리 시설에서 걸러지지 않고 강과 바다로 흘러갑니다.
- 자동차 타이어: 자동차가 도로 위를 달릴 때 타이어는 지속적으로 마모됩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입자들(타이어 마모 분진)은 빗물과 함께 하수구를 거쳐 하천과 바다로 유입됩니다. 타이어 분진은 미세플라스틱의 주요 발생원 중 하나로 꼽힙니다.
- 플라스틱 제품 분해: 버려진 페트병, 비닐봉지, 플라스틱 용기 등은 자연에서 분해되지 않고 잘게 부서지기만 합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마스크, 포장재 등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이들이 자연환경에서 분해되며 발생하는 2차 미세플라스틱 오염 문제가 한층 심각해졌습니다.
- 화장품 및 세정제: 과거 일부 스크럽제, 치약, 세안제에는 각질 제거를 위해 1차 미세플라스틱인 마이크로비즈가 사용되었습니다. 현재는 많은 국가에서 사용을 금지하고 있으며(예: 2023년 10월 EU 공식 금지), 한국에서도 특정 용도의 미세플라스틱 사용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환경에 잔류하거나 일부 제품에서 여전히 사용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팁: 타이어 분진은 주로 차량 통행량이 많은 도시에서 발생하며, 하수구와 도로변에 축적된 후 빗물을 통해 수계로 흘러 들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3. 미세플라스틱이 자연계로 이동하는 경로
미세플라스틱은 매우 작고 가벼워 여러 경로를 통해 우리 환경 곳곳으로 이동합니다. 육지에서 발생한 미세플라스틱이 어떻게 바다와 대기로 확산되는지 알아볼까요?
- 하수 시스템: 의류 세탁 시 발생한 미세섬유나 화장품 속 마이크로비즈는 하수도를 통해 강으로, 그리고 최종적으로 바다로 흘러갑니다.
- 빗물 유출: 타이어 분진, 도로 위 쓰레기 등은 빗물에 쓸려 하수구를 거쳐 하천으로 이동합니다.
- 토양 확산: 하수처리장에서 걸러진 슬러지(하수 찌꺼기)가 비료로 사용되면서 미세플라스틱이 농경지 토양으로 확산되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예: 2019년 한국농촌진흥청, 2023년 유럽환경청 발표). 이로 인해 작물과 토양 생태계에 장기적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어 주목받고 있습니다.
- 대기 이동: 미세플라스틱은 바람을 타고 대기 중을 떠돌며, 최근 연구에 따르면 남극 상공과 같은 극지방까지 확산된 사례도 발견되고 있습니다.
다음 편 안내
다음 편 예고:
오늘은 미세플라스틱이 어떻게 발생하고 우리 환경에 퍼져나가는지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3편에서는 ‘내 몸속에 들어온 미세플라스틱: 건강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미세플라스틱이 우리 건강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쉽고 깊이 있게 다뤄보겠습니다. 계속해서 ‘미세플라스틱 완전정복’ 시리즈와 함께 해 주세요!
[생활정보] - 미세플라스틱, 정체를 밝히다! (미세플라스틱 완전정복 1편)
미세플라스틱, 정체를 밝히다! (미세플라스틱 완전정복 1편)
여러분이 매일 마시는 물, 요리에 사용하는 소금, 그리고 우리가 숨 쉬는 공기 속에 ‘미세플라스틱’이 들어있다는 사실, 어디까지 알고 계신가요?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우리 생활 곳곳
www.153grace.com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세플라스틱 생태계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 (미세플라스틱 완정정복 4편) (1) | 2025.08.03 |
---|---|
내 몸속에 들어온 미세플라스틱 (미세플라스틱 완전정복 3편) (1) | 2025.08.03 |
미세플라스틱, 정체를 밝히다! (미세플라스틱 완전정복 1편) (0) | 2025.08.03 |
민생회복쿠폰 사용처 (0) | 2025.07.26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부터 사용까지 완벽 가이드 (0) | 2025.07.22 |